Java/Spring (1) 썸네일형 리스트형 [SPRING]스프링 입문을 위한 자바 객체 지향의 원리와 이해(1) 책을 시작하자마자 작가가 의문을 던진다. 스프링을 이해하려면 이전의 어떤 기술을 이해하고 있어야 하는가? 나는 당연하게 OOP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작가는 다양한 답변을 내놓았고 그중 물론 OOP라는 답변이 있었다. 작가가 원했던 답변은 아래와 같다. SOA CBE OOP 절차적/구조적 프로그래밍 기계어/어셈블리어 5 로 갈수록 작가의 만점과 가까워지는 것 같은데 나는 아쉽게도 OOP만 생각해냈다. 그다음 장으로 넘어가서 작가는 T 메모리 구조를 보여주면서 static, stack, heap 영역들의 역할과 구조 등을 알려 주었는데 정리를 하자면 아래와 같다. 스태틱 영역 스택 영역(메서드들의 놀이터) 힙 영역 스레드 스레트 스태틱 = 클래스의 놀이터 스택 = 메스드의 놀이터 힙 = 객체의 놀이터 위의 .. 이전 1 다음